비행기 운항 스케줄의 정확한 의미
쿠리어는 물건을 당일에 픽업한 후 항공기에 실을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포워더를 통해서 운송을 할 경우에는 미리 예약을 해야만 합니다. 예약을 하게 되면 운송사에서는 예약한 비행기가 언제 도착하는지에 대한 자세한 스케줄을 수출자에게 통지를 합니다.
- 설명 -
· 이 운항 스케줄은 인천(ICN)을 출발해 대만 타이베이(TPE)를 경유하여 뉴델리(DEL)로 가는 항공 스케줄입니다. 이 스케줄 상의 ETD는 Estimated Time of Departure의 약자로 출발 예정시간을 의미합니다. ETA는 Estimated Time of Arrival의 약자로 도착 예정시간을 의미합니다.
① MASTER AIRWAYBILL(MAWB) 번호는 123-09876이고, HOUSE AIRWAYBILL(HAWB) 번호는 AB12344556입니다. 참고로 MASTER AIRWAYBILL은 항공사에서 발행하는 AIRWAYBILL이고, HOUSE AIRWAYBILL은 포워더가 발행하는 AIRWAYBILL입니다.
② 2022년 3월 3일 19시 10분에 인천공항을 충발(ETD)하는 대한항공(KE) 123 비행기는 2022년 3월 3일 21시에 대만의 타이베이(TPE)에 도착할 예정입니다(ETA).
③ 화물은 대만에서 말레이시아항공(MH) 편에 옮겨져 실리고, 2022년 3월 5일 23시 30분에 대만을 출발해(ETD) 다음날 4시 30분에 인도 뉴델리에 도착할 예정(ETA)입니다.
* 위 운항 스케줄은 일반적으로 화물이 항공기에 적재되어 출항한 이후에 발행되는 내용입니다.
택배의 운송장과 같은 AIRWAYBILL
AIRWAYBILL은 항공외사나 항공포워더가 화물을 인수했음을 증명하는 일송의 운송장과 같은 것으로, 운송장에는 SHIPPE(보내는 사람 = 수출상)과 CONSIGNEE(받는 사람 = 수입상)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또한 AIRWAYBILL에는 영어 알파벳과 숫자로 조합이 된 AIRWAYBILL 번호가 있는데, 이것은 택배의 운송장번호와 같이 화물의 현재 위치를 확인할 때 이용합니다. 다시 말해 AIRWAYBILL 번호로 화물의 위치 파악이 가능합니다.
1. 체크빌
보통 AIRWAYBILL은 항공기 이륙 후에 발행합니다. 그러면 수출자는 패킹리스트(Packing List)라는 것을 운송회사에 보냅니다. 운송회사는 패킹리스트에 기재된 수출제품의 내역과 보내는 사람, 받는 사람의 주소와 이름 등을 AIRWAYBILL에 기재합니다.
패킹리스트를 근거로 작성된 AIRWAYBILL은 곧바로 발행을 하지 않고 작성한 내용이 정확한지 수출자에게 확인합니다. 이때 확인을 받기 위해 약식의 AIRWAYBILL을 발행하는데 이것을 체크빌(Check Bill)이라고 합니다. 체크빌의 내용을 확인받은 뒤에 운송회사는 AIRWAYBILL을 발행하여 수출자에게 우편으로 발송합니다.
2. MASTER AIRWAYBILL 그리고 HOUSE AIRWAYBILL
항공회사, 항공포워더 모두 AIRWAYBILL을 발행하는데, 일반적으로 항공회사가 발행하는 것을 MASTER AIRWAYBILL이라고 하고, 포워더가 발행하는 것을 HOUSE AIRWAYBILL이라고 합니다. 포워더를 통해 물건을 항공기에 선적하는 경우, 포워더가 화물을 인수하기 때문에 '포워더가 화물을 인수했다'라는 의미로 AIRWAYBILL을 발행합니다. 그렇지만 수출자가 항공사와 직접 운송계약을 체결한 경우엔 항공회사가 화물을 인수하기 때문에 인수증과 같은 MASTER AIRWAYBILL을 발행합니다.
2024.03.10 - [손에 잡히는 무역] - 항공운송비용 확인하기
'손에 잡히는 무역'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컨테이너, 선박 운송의 기본 (0) | 2024.03.13 |
---|---|
선박운송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4.03.12 |
항공운송비용 확인하기 (0) | 2024.03.10 |
택배만큼 쉬운 비행기로 수출, 수입하기 (0) | 2024.03.10 |
항공운송회사, 알고 쓰자 (0) | 2024.03.09 |